2025년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시험일정이 발표되었는데요,
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시험은 중증장애인의 공직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도입된 특별전형으로,
일반 공개경쟁채용시험과는 별도로 운영됩니다.
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1. 시험 개요
시험명: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
목적: 중증장애인의 공직 진출 확대 및 사회 참여 기회 보장
운영기관: 인사혁신처
2. 지원 자격
장애 기준: 「장애인복지법」 상 중증장애인(구 1~3급 장애)으로 등록된 사람
학력 요건: 특정 직급 및 직렬에 따라 다름(보통 9급의 경우 학력 제한 없음)
연령 요건: 만 18세 이상(9급), 만 20세 이상(7급)
국적: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
기타: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아야 함
3. 선발 직급 및 분야
주로 9급 및 7급 공무원 채용
행정직, 전산직, 사서직, 사회복지직, 시설관리직 등 다양한 분야
모집 공고 시 채용 직렬 및 세부 요건이 발표됨
2024년도 기준, 원수접수를 근거로한 경쟁률 먼저 살펴보겠습니다.
선발인원 65명 중 접수인원 181명, 약 3:1의 경쟁률이었습니다.
다양한 부처에서 선발되는 만큼 전국구로 채용하고 있어, 지역을 살펴보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.
4. 시험 전형 절차
서류전형
지원자의 자격 및 경력 심사
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 평가
필기시험 (필요 시)
일부 직렬은 필기시험 실시 (과목: 국어, 영어, 한국사 등)
장애 유형에 따라 점자문제지, 대필 허용 등 편의 제공 가능
면접시험
공직 가치관, 직무 역량, 의사소통 능력 평가
최종 합격 및 임용
신체검사 및 신원조사 후 최종 임용 결정
6. 시험 일정 (일반 공무원 시험과 별도로 진행)
7. 경쟁률 및 합격률
경쟁률이 일반 공무원 시험보다 상대적으로 낮음
면접 합격률이 높은 편
직렬별 TO(채용 인원 수)에 따라 달라짐
(2024년 기준 3:1 수준)
8. 합격 후 처우
일반 공무원과 동일한 급여 및 복지 혜택
장애 특성에 맞는 근무 환경 조성(장애인 편의시설 제공 등)
일정 기간 경력 후 승진 가능
시험 꿀팁!
▶사전 모의고사 및 시험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
▶장애 유형별 시험 편의 신청을 미리 준비
▶면접 대비 시 공무원으로서의 기본 소양 및 정책 이해 필수
시험 준비하는 모든분들 응원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