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복합재료 연구담당 한국의 정부출연 연구기관 알아보기

사유인간 2023. 9. 12. 07:00
반응형

지금까지 자기강화복합재료를 비롯해 다양한 복합재료에 대해 알아보고 있었습니다.

 

그래서 오늘은 한국에서는 복합재료 관련 연구에 얼만큼 투자하고 인재를 육성하는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.

그중에서도 연구기관 중 정부출연 복합재료 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그전에 정부 출연기관 이라는걸 무얼 뜻하는걸까요?

사전상 의미를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출연 (出捐) : 금품을 내어 도와줌 

 

정부 출연기관은 정부에서 재정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연구기관을 뜻합니다.

 

예산 계획시 출연기관의 운영자금도 반영해 계획을 수립, 예산이 집행되는 만큼 , 정부에서 국가발전에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운영되는 기관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.

 

현재 한국에서 다양한 정부 출연기관이 운영중이며, 대표적 두기관에서 분야를 나누어 관리 (육성 및 지원)하고 있습니다.

그 중 과학기술분야로는 과학기술연구회(NST) 소관으로 25개 연구원이 운영되고 있습니다. (2023년 기준)

* 과학기술연구회: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관

 

 

25개 연구원 중 복합재료를 연구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는 

한국재료연구원 이 있습니다.

 

한국재료연구원

소재분야의 연구개발, 성과확산, 시험평가, 기술지원 등을 통해 국가 소재 연구개발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고, 국가 소재산업 발전 및 국가,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를 목적으로 한 기관.

 

 

주요 업무

- 금속소재 및 관련공정 연구개발

- 세라믹 소재 및 관련 공정 연구개발

- 표면 관련 소재 및 관련 공정 연구개발

- 복합 소재 및 관련 공정 연구개발

- 나노, 융합 소재 및 관련 공정 연구개발

- 소재,부품 플랫폼 및 실증화 연구개발

- 소재,부품공인, 시험평가, 표준화 인증 

 

 

연구 분야

- 극한소재 연구소

- 금속재료 연구본부

- 분말재료 연구본부

- 세라믹재료 연구본부

- 나노표면재료 연구본부

- 복합재료 연구본부

- 재료디지털플랫폼 연구본부

- 재료 안전평가본부

 

복합재료 연구본부의 주요 연구

 

1. 탄소복합재료연구실

 

고성능 나노탄소소재 및 마이크로 탄소섬유를 기반으로 첨단복합재용 원천소재 및 혁신공정기술 개발, 스마트화를 통해 주력 산업의 고도화를 꽤하고 친환경 및 차세대 전지로 대표되는 미래선도산업용 핵심소재 및 응용 기술의 개발을 목표로, 

차세대 수송기기용 고성능 탄소 복합재 제조를 위한 열가소성/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설계 및 이에 기반한 신개념 성형 기술, 미래형 웨어러블 일렉트로닉스용 모노필라멘트/텍스타일 기반 에너지 재료 및 스마트 센서 기술, 멀티스케일 마이크로/나노 복합재료 기술 개발 연구를 진행.

 

2. 기능복합재료연구실

 

고성능 복합재의 신기능 및 구조/기능 융합을 위한 원소재 다기능화, 나노/마이크로하이브리드화, 첨단 기능성 복합소재 설계, 공정 및 평가 기술 개발을 목표로, 현재 전자파 흡수/차폐 복합소재 기술, 고성능/다기능 금속복합 소재 기술, 초고온 탄소/탄소 및 내열 복합소재 기술, 에너지 저장 스마트 복합재료 기술, 데이터/인공지능 기반 기능복합소재 설계/해석 기술 등 구조/기능성 복합소재의 원천 및 응용기술 개발연구를 진행.

 

3. 복합재료구조시스템연구실

 

풍력, 자동차, 선박/항공/방산 등을 주력산업 분야로 국가적 현안인 에너지, 친환경, 국방 관련 국가 전략적 기술 개발을 위해, 섬유강화 복합재료 및 구조에 대한 설계/해석 및 시험평가/인증 기술을 기반으로 고성능, 고기능성 신경량 구조 요소 부품 및 시스템에 대한 전주기적 실용화 연구개발 수행.

 

4. 풍력핵심기술연구센터

 

대형 풍력 블레이드 설계/해석/시험평가/인증 핵심기술 및 전주기 상용화 개발.

 

 

재료의 다양성만큼이나 다양성분야로 확장,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것을 알 수 있었는데요,

이러한 과학기술개발연구는 국가발전에 꼭 필요하고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.

과학기술의 정도에 따라 국가경쟁력이 달라지기도 하기 때문이죠.

 

오늘은 복합재료를 연구하는 한국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보이지 않는 곳곳에서 끊임없는 연구와 개발에 많은 노력을 쏟고계신 연구원분들께 감사인사를 하며 오늘 글 마무리하겠습니다.

 

오늘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